활동 갤러리
우리동네 양서류 프로젝트 중간보고(CADA앱 활용)
(2022. 5. 24. 기준)
총 380명이 참여하고, 관찰된 생물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찰된 양서파충류
1) 양서류(총 8종, 유미류 1+무미류7)
- 유미류(1) : 도롱뇽
- 무미류(7) : 두꺼비, 참개구리, 청개구리, 옴개구리, 한국산개구리, 큰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2) 파충류 : 줄장지뱀, 도마뱀
* 맹꽁이습지에도 두꺼비와 한국산개구리, 참개구리 등이 관찰되었고, 장마 전후로 맹꽁이의 소식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더불어 양서류지킴이 활동연계 활동으로 지킴이 현수막 캠페인 작업과 안내판 설치(맹꽁이습지), 절골천 모니터링 활동 등을 진행했어요.
(물과 땅을 오가는 양서류의 생태특징상 성장단계중 사람들의 발에 밟힐 로드킬을 대비하여 맹꽁이습지 입구에 출입통제 현수막 추가 설치하기도 했어요)
2. 습지의 특성 : 물이 고여있는 작은 연못(55.3%) &gt&#059; 숲 계곡 주변지역(17.6%)
물과 자연환경의 소중함과 지킴이 활동의 필요성
3. 습지의 크기 : 3m이상(38.4%) &gt&#059; 2m이상~3m미만(20.3%)
관찰된 습지 크기는 2m이상이 58.7%를 나타내어 작은 크기라도 물환경이 양서류의 생존과 번식에 꼭 필요함을 추정
4. 우리동네 습지에 대한 느낌 : 습지가 많아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 희망(59.5%) &gt&#059; 다양한 생물종에 대한 신기함(23.2%)
관내 생물다양성과 우리동네 습지에 대한 관심 확대
5. 양서류 프로젝트 보완을 위한 노력
- 도심속 습지공간의 중요성 인식 확대
- 수원시민의 참여 독려 필요
- 의미있는 양서류data의 추출 (관찰된 양서류의 생물종 동정작업)
- 습지 추가 조사 필요성
- 관찰 기록 정리 등등
환경지표종인 양서류의 생태특징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환경의 건강도를 예측하며
물환경 및 습지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의미있는 시간을 만들어요~
앞으로도 꾸준한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